유럽처럼 신용사회가 정착된 곳에서는 1인기업이 아주 활성화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일자리 창출과 관련해서 일인기업육성을 중소기업관련 협회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펼치고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는 아직 회의적입니다. 왜냐하면, 신용사회가 정착되지 않는 상황에서 사업리스크를 개인 져야하는 자영업은 그리 크게 장려할 만 하지 못합니다.
그리고, 신용사회가 정착되지 않고서는 고부가 가치를 가진 1인기업을 양성하기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공공조직이나 기업이 이런 일인기업과 계약체결을 counter part risk 때문에 꺼리기 때문입니다.
제 지인 중에, 신용평가모형에 대한 전문가가 있습니다. 오랫기간 자신이 고안한 우수한 평가모형을 R&D하고 있는데, 결국 위와 같은 이슈 때문에 번번히 좌절하고 말았습니다.
최근 이 지인이 자신의 생각을 바꾸었씁니다. 1인기업으로서 C2B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직시하고, C2C로 사업을 추진하기로 한 것입니다.
신용위험관리에 있어서, 신용조사, 신용분석과 함께 신용등급모형은 매우 중요하고 핵심적인 이슈입니다. 결코 금융기관 심사역의 전유물이 될 수 없습니다. 이 지식을 리테일로 공개하고 많은 사람들에게 전파 또는 계몽(?)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위험사회 성격을 경감하고 신용사회로 나가기 위한 필수 인프라 인지도 모릅니다.
아래는 이 지인의 네이버 블로그 입니다. 정기적으로 방문하셔서 신용위험관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시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기업리스크관리 > 기업리스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코노믹 리뷰 인터뷰 기사 (0) | 2009.04.14 |
---|---|
성공적인 기업경영 (0) | 2009.04.10 |
이코노믹 리뷰 경제잡지 인터뷰 (0) | 2009.04.08 |
출간 보도 자료 입니다! (0) | 2009.03.17 |
출간의 후속 작업 (0) | 2009.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