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에 실린 체크리스트
2008년 11월 3일 중앙일보 '한국은 위험사회'에 게제된 개인위험관리 체크리스트 입니다.
김은하 기자께서 조금 정정하셔서 기사에 맞게 편집하였지만, 여기에는 원본을 올립니다.
개인위험관리 체크리스트는 10개 항목으로 묶어 보았습니다. 각 항목은 ‘1’ 매우 잘하고 있다 부터 ‘5’ 매우 취약하다까지 5단계로 하면 됩니다.
1번 (자산/비용위험관리 인식/수준)
가계부 작성, 중장기 재무계획, 재무설계 컨설팅 등 자신/비용위험 관리 수준은 어느 정도 입니까?
(1) 아주 잘하고 있다(1) (2) 잘하고 있다(2) (3) 보통이다(3)
(4) 부족하다(4) (5) 아주 부족하다(5)
2번 (순자산 적립율)
자신의 나이를 감안한 현재 순자산 규모는 생애 목표적립금의 몇% 수준입니까? (35세까지 × 4, 36세-40세 × 3, 41세-45세 × 2, 46세-50세 × 1, 51세 이상 × 0.8)
(1) 100% 이상 (1) (2) 70% 이상 (2) (3) 50% 이상 (3)
(4) 35% 이상 (4) (5) 35% 이하 (5)
계산방법 예시 : 나이 40세, 현재 순자산이 2억이고, 생애 목표적립금이 10억이라면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2억원 × 3 = 6억원으로 목표의 60% 달성 입니다. 승수 (4, 3, 2, 1, 0.8)은 현재 순자산의 은퇴시점 대비 미래가치를 감안하기 위한 것입니다.
3번 (재무위험 (신용, 시장, 금리위험) 관리수준)
재무위험 즉 신용, 시장 (주식, 펀드 등), 금리위험의 내용을 적절하게 이해하고 있으며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까?
(1) 아주 잘하고 있다(1) (2) 잘하고 있다(2) (3) 보통이다(3)
(4) 부족하다(4) (5) 아주 부족하다(5)
4번 (재무위험 노출 정도)
당신의 나이를 감안한 현재 재무위험 노출 정도는 순자산의 몇 % 수준인가 (35세까지 × 0.8, 36세-40세 × 1, 41세-45세 × 2, 46세-50세 × 3, 51세 이상 × 4)
(1) 30% 이하 (1) (2) 30% 이상 (2) (3) 50% 이상 (3)
(4) 70% 이상 (4) (5) 100% 이상 (5)
(참고사항)
연령이 높을수록 재무위험 발생 시, 회복이 어려우므로 승수를 높게 책정해야 합니다. 재무위험은 신용위험, 주식위험, 금리위험 등을 합계한 위험입니다.
5번 (전문성위험 노출정도)
당신은 조직 내 Specialist (전문가) 그룹에 속하며 일관성 있는 경력을 갖고 있습니까? 그리고 정년까지의 직업유지 가능성은 어느 정도 입니까? 자신의 전문분야에 대해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의 소유자 입니까?
(1) 매우 그렇다 (1) (2) 그렇다 (2) (3) 보통이다 (3)
(4) 그렇지 않다 (4) (5) 매우 그렇지 않다 (5)
6번 (전문성위험 관리수준)
당신은 전문분야에 국내외 네트워크 (학회 포름, 사이버 커뮤니티, 사적전문활동 등)에 능동적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발신 능력 (리포트작성, 강의, 블로그활동, 저성 등)을 적극적으로 하고 있는 편입니까?
(1) 매우 그렇다 (1) (2) 그렇다 (2) (3) 보통이다 (3)
(4) 그렇지 않다 (4) (5) 매우 그렇지 않다 (5)
7번 (비재무위험 노출정도)
가족구성원간 (부부, 자녀, 부모형제 사이)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가족구성원의 안전사고 노출을 적절히 통제하고 있으며 적절한 수준의 보험가입을 통해 위험발생에 대비하고 있습니까? 가정비상계획을 작성하여 별도 비치 하는 등 비상상황에 대한 대비를 하고 있습니까?
(1) 매우 그렇다 (1) (2) 그렇다 (2) (3) 보통이다 (3)
(4) 그렇지 않다 (4) (5) 매우 그렇지 않다 (5)
8번 (건강관리)
우리나라의 의료보험은 저부담 저수혜 체계로서 가족구성원의 질병은 의료빈민으로 이어 질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특히 가장의 건강 상실은 건실한 가정을 해치는 민감한 사안입니다. 가족구성원 전체의 음주, 흡연, 식생활, 스트레스 조절, 건강검진, 평소 운동량 등이 적절히 이루어 지고 있다고 생각합니까?
(1) 매우 잘하고있다 (1) (2) 잘하고 있다 (2) (3) 보통이다 (3)
(4) 부족하다 (4) (5) 매우 부족하다 (5)
9번 (중년위기 관리)
중년위기는 제2의 사춘기라고 할 만큼 누구에게나 중년초기에서 장년초기의 연령에 매우 심각한 정체성 위기를 가져 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체성위기는 가정파괴, 의존형위험 (알코올중독, 지나친 취미활동 등), 자기개발저해 등 악영향을 가져옵니다. 중년위기에 대한 서적을 통해 이 시기의 위기에 대해 인지하고 있으며 멘토링을 통해 적절히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중년위기에 대한 인식과 대비는 어느 정도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까?
(1) 매우 잘 인식하고있다 (1) (2) 잘인식하고 있다 (2) (3) 보통이다 (3)
(4) 인식하고 있지 않다 (4) (5) 전혀 인식하고 있지 않다 (5)
10번 (노후준비관련)
장수는 위험이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준비되지 않은 장수는 재앙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자녀지원과 관련한 과다한 비용지출은 노후의 재정적 대비의 위험요소입니다. 자녀교육과 노후대비의 적절한 균형을 잡고 있습니까?
(1) 매우 적절히 하고있다 (1) (2) 잘하고 있다 (2) (3) 보통이다 (3)
(4) 자녀지원에 치중하고 있다 (4) (5) 과도하게 자녀지원에 치중하고 있다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