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인의 재무설계 수준
3절 일반인의 재무설계 수준
제가 수년 동안 사이버 대학과 대학 강의를 통해 수천 여명의 재무설계서를 자문했습니다. 사이버 대학의 수강생 분포는 20대부터 60대까지 다양합니다. 재정설계서에서 살펴본 재정분야의 상황을 학점으로 분류해 보면 A학점 즉, 충분한 자산을 보유하고 있고 연금계획도 충분한 그룹이 20% 정도 됩니다. 이들은 현재 보유한 자산을 체계적인 위험관리를 통해 잘 유지하기만 하면 아무런 어려움이 없이 인생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 B학점은 안정적인 삶을 위해 추가 자산이 필요한 그룹입니다. 이들은 앞으로 체계적인 재정관리를 실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30%가 B학점 그룹에 속합니다. 다음 C학점 그룹은 인생설계에서 필요자금의 50% 정도가 마련되었으나 개선의 가능성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습니다. 상세하고 구체적인 재정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할 필요가 있으며 이 강의에서 가장 큰 수혜를 입을 그룹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30% 정도가 이 그룹에 속합니다. D학점과 F학점이 가장 위험스러운 그룹입니다. D학점의 경우 현재 상황을 기준으로 향후 30년 동안 시뮬레이션을 해보면 필요자금 준비수준이 20%에 못 미칩니다.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재정계획 수립과 실행 없이는 절대빈곤에 빠질 가능성이 매우 높은 그룹입니다. 마지막으로 F학점은 여러가지 다양한 이유,예를 들면, 질병, 사업실패, 가족이 알콜중독등으로 의존형 위험에 빠진 경우, 가정해체 등으로 이미 절대 빈곤상태에 있는 그룹입니다. 이들에게는 특단의 대책이 절실히 요구됩니다.
4절 핵심정리
재무설계는 고액자산가 보다는 중산층과 중위소득자에게 더 유효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재무설계사의 독립적인 재무설계 자문을 받을 수 없으며 학습과 실행을 통해 스스로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재무설계는 재정 외에도 재정과 연관이 깊은 전문성, 가족, 네트워크, 건강, 취미와 같은 삶의 요소에 대한 plan-do-see와 위험관리의 순환적 과정입니다. 우리나라 근로자의 평균소득은 353만원이고, 중위소득은 267만원으로 매년 2%-6% 정도 증가하며 이는 물가상승률 등과 연관이 있습니다. 재무설계서 내용에는 5대 자산현황, 월별 현금흐름, 순자산표 등이 있으며 재정에 위협이 되는 원인을 제거하는 위험관리를 포함합니다. 지금까지 사례를 통해 재무설계의 개요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막연하게만 느껴졌던 재무설계가 이번 강의를 통해 이해되었기를 바랍니다. 수고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