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도 서서히 저물어가고 있습니다. 기업들은 신년이 다가오면 반드시 CEO 신년사를 발표합니다. 새해 첫 업무가 개시되는 날 아침 시무식이나 오프 라인 시무식이 없는 기업은 방송 또는 사내 인트라넷으로 하게 됩니다. 금년도 매우 어려운 한 해 였습니다. 각 연구소의 내년도 전망을 보면 역시 만만치 않습니다.
CEO 신년사를 작성하는 기업전략부서는 매년 어떤 내용을 신년사에 담을까 하고 고심할 것입니다. 신년사에는 5꼭지 정도 전략적으로 중점을 두는 사안을 포함하게 됩니다. 제가 권유하는 것은 반드시 한 꼭지는 '리스크관리 강화'로 정하시라는 것입니다. 리스크관리 강화는 어느 기업이나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기업경영환경이 불확실할 수록 더욱 그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문장으로 신년사에 리스크관리를 포함해 보시기 바랍니다.
1. 아직 리스크관리를 정식으로 도입하지 않은 대부분의 기업의 경우
.... (중략)
넷째, 금년 우리회사는 '기업리스크관리'를 도입하는 해로 삼고자 합니다. 우리 회사도 예외없이 기업의 경제적 리스크, 사회적 리스크, 환경적 리스크에 노출되고 있습니다. 경제적 리스크는 원자재 가격, 환율변동, 원가상승, 글로벌 관련 경영리스크의 상승 등이 속합니다. 사회적 리스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윤리경영과 투명경영에 대한 요구, 이해관계자 민감도 증가 등에 대해 유념해야 합니다. 환경적 리스크는 환경규제 강화, 환경친화적 생산, 오염자 부담원칙 강화 등이 더욱 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업리스크를 사전적, 체계적,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체계를 도입하고자 합니다.
2. 이미 기업리스크관리를 도입하고 있는 기업의 경우
... (중략)
넷째, 기업리스크관리의 강화입니다. 우리 회사는 이미 몇 년전부터 ERM(전사적 리스크관리) 도입을 시작하였습니다. 내년에는 이러한 ERM 관리수준을 한 단계 높이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조직, 전문인력, 규정, 내부 프로세스, 리스크관리 시스템 등 ERM관리체계를 한 단계 레벨 업하도록 목표를 삼고자 합니다.
'기업리스크관리 > 기업리스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속가능 경영과 세월호 운영선사 (0) | 2014.04.25 |
---|---|
이코노미 저널 '기업리스크관리' 인터뷰 기사 (0) | 2013.12.28 |
직접금융과 간접금융의 이해 (0) | 2013.10.03 |
증권회사의 자본구조와 개인투자자의 리스크관리 (0) | 2013.09.30 |
동양그룹 사태 (0) | 2013.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