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터 랜드와 지구온난화 제가 독일에서 귀국한 후 서울의 비전원성이 싫어서 찾아간 곳이 서종면이라는 북한강변의 마을입니다. 15년째 그곳에 전원주택을 가지고 있고, 아마 평생 거기서 살게 될 것 같습니다. 이 마을의 강 맞은편에 서울 영화촬영소가 있어서 가족이 함께 가끔 나들이를 갑니다. 2008년을 기준으로 지난 몇년.. Social Risk/환경·안전·방재 2009.04.21
책소개 - 데드라인에 선 기후 환경리스크가 매우 심각한 인류의 리스크라는 것을 어렴풋이 알고 있었습니다. 지속가능한 세계, 지속가능한 경영 등과 같은 주제에 항상 따라 다니는 것이 바로 환경리스크이기 때문입니다. 최근에 바이오컨 이라는 친환경적 쓰레기 처리 회사를 알게 되면서 다시 한번 환경리스크에 대해 논의할 필.. Social Risk/환경·안전·방재 2009.04.20
출판 미팅 바이오컨 스토리는 이제 곧 한권의 책으로 세상을 찾아가게 됩니다. 이 컨셉이 가지고 있는 철학과 가치관을 널리 알릴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다. 하나의 멋진 '휴먼스토리'로 꾸며서 누구나 흥미롭게 읽을 수 있도록 쓰게 될 것입니다. 제가 지금까지 3권의 책을 출간한 경험이 있습니다. 첫번째 책은 .. Social Risk/환경·안전·방재 2009.04.16
남해 바이오컨 (9) - 최종정리 남해 바이오컨 쓰레기 처리시설을 방문하고 받은 인상이 너무 깊었습니다. 제가 전에 친구 최동석박사의 '똑똑한 자들의 멍청한 짓' 이라는 책의 원고를 받아 초고를 읽으면서 느꼈던 등줄기의 전율 같은 것이였습니다. 제 아내가 지휘하는 성가대 연습시간에 대원들과 화음을 맞추면서 뒷골이 뻐근.. Social Risk/환경·안전·방재 2009.04.15
남해 바이오컨 (8) - 공정설명도 내용 및 오타 정정 앞에서 게제한 남해 바이오컨 (1) - (7)까지의 기술적인 내용을 다시 한번 리뷰하고 틀린 내용을 수정하였습니다(2009. 4. 11). 혹시 이전의 내용에 대해 의문을 가졌던 분이 있다면 정정한 내용으로 봐 주시기 바랍니다. 오자도 몇 자 정정했습니다. 블로그에 글을 쓴다는 것이 좀 더 주.. Social Risk/환경·안전·방재 2009.04.11
탄소배출권과 봉이 김선달 제가 어렸을 때 로마클럽이라는 세계 석학들의 모임에서 환경오염에 의한 지구의 종말을 경고한 이야기가 기억 납니다. 감수성이 예민한 시절에 이거 정말 지구가 멸망하는 거 아닌가 하고 괜히 걱정을 하기도 했습니다. 결국 지구의 온난화와 기후변화의 원인이 이산화탄소등 온실가스 배출이라는 .. Social Risk/환경·안전·방재 2009.04.08
남해 바이오컨 (2) - 님해섬의 보물 1. 바이오컨 공장을 찾아 가는 길 서울 반포에서 아침 6시 30분에 승용차로 출발하여 금산에서 잠시 휴식을 취하고 달려왔는데, 남해대교까지는 대략 4시간 정도가 소요되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대전에서 사천에 이르는 고속도로 구간을 좋아 합니다. 한적하고 또 주변의 경관이 국도처럼 아기자기.. Social Risk/환경·안전·방재 2009.03.28
남해 바이오컨 (1) - 아! 관음포 앞바다! 남해군 관음포! 성웅 이순신께서 노량해전에서 도망가는 왜군을 전물시키고 자신도 장렬히 산화한 성지입니다. 일제 때 일부는 매립되어 작은 만으로 변했지만, 지금도 이 곳은 당시 장군의 비장한 심정을 안고 우리를 향해 무언의 메세지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남해 바이오컨 탐방기를 임진왜란에서.. Social Risk/환경·안전·방재 2009.03.26
3월 25일은 남해 바오오컨 폐기물 처리장 견학 갑니다! 제가 요즘 경영자문을 해 주고 있는 기업이 있습니다. 바이오컨이라는 폐기물을 친환경적으로 처리하는 기술을 가지고 있는 곳입니다. 내일은 그 동안 꼭 가보고 싶었던 이 회사의 남해 시설을 견학하러 갑니다. 새벽 일찍 길을 떠나므로 아침에 글 쓸 시간이 없을 것 같아 미리 땡겨서 씁니다. 바이오.. Social Risk/환경·안전·방재 2009.03.24
어제 대단한 기업가를 맞났습니다! 요즘 환율이 장난이 아닙니다. 사업하는 분들, 특히 수입과 관련이 있는 분들을 만나면, 도대체 환율이 어디까지 오를까 하고 자문을 구합니다. 전들 뽀족한 대답을 할 수 있는 처지가 아닙니다. 그저, 최악의 경우 (스트레스 시나리오)를 가정하고, 대비를 하라고 권할 뿐입니다. 달러환율에 관해서는 .. Social Risk/환경·안전·방재 2009.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