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전문성
전문성을 얻기 위해서는 수신능력, 발신능력, 숫자감각, 문제해결능력 등 4가지가 있어야 합니다. 이것을 지식의 지식이라는 의미에서 메타지식이라고 하겠습니다. 오늘날 전문분야의 지식은 급속히 발전합니다.메타지식이 없으면 높은 수준의 전문성을 유지할 수 없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전문성을 갖추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메타지식을 기본으로 습득해야 합니다. 수신능력은 온갖 채널로부터 지식을 받아들이는 능력입니다. 지식채널은 책, 신문, 강의, 유튜브 동영상과 같은 것입니다.수신능력은 메모와 노트기술, 집중력, 파일링등의 기술이 필요합니다. 발신능력은 지식과 경험을 대화, 글, 논문, 강연, 동영상 등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능력입니다. 수신능력과 발신능력은 초등학교부터 교육의 핵심입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4지 선다형 수능시험 때문에 이 능력을 훈련하지 못한 채 고등학교를 졸업합니다. 대학공부나 사회생활을 하며 이 능력을 훈련해야 하는데 결코 쉽지 않습니다. 독일의 아비투어, 프랑스의 바칼로레아, 영국의 ALeval은 고등학교 졸업시험 명칭입니다. 이 시험은 논술형태로 치러지므로 고교까지의 교육방식이 객관식 문제풀이와는 다릅니다. 숫자감각은 1조원, 1천억원 등의 큰 단위의 돈에 대한 감각과 숫자를 오류 없이 다루는 것입니다. 나아가 스마트폰의 공학계산기 기능과 엑셀과 같은 수치프로그램을 잘 사용하는 능력입니다. 1년 국가예산, 대전역에 있는 철도공사 본사 건물의 가치, 400 세대 아파트 단지의 가치, 근로자의 평생 수입 등이 얼마나 되는 지 감이 있나요?제가경영경제 분야 강의시간에 이런 숫자에 대해 질문을 해보면 정확히 답변하는 학생이 거의 없습니다. 평소에 훈련할 기회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한 학기 강의 동안 제가 여러 번 반복하여 강조하고 나면 어느 정도 수치감각이 생깁니다. 공학계산기나 엑셀사용 능력도 마찬가지 입니다. 특히 엑셀은 250일 코스피 지수와 같은 큰 묶음의 숫자를 분석해 보지 않으면 훈련이 되지 않습니다.
문제해결능력에 대해 생각해 봅시다. 30년 실무경험을 해본 제가 생각하는 문제해결능력은 3가지 입니다.지식 정형화 능력, 기획능력, 창의성 등입니다.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사용하고 있는 추상적 지식을 업무매뉴얼과 같은 정형화된 지식으로 만드는 능력이 중요합니다.기획능력은 파편처럼 흩어진 지식과 정보를 목적방향으로 정렬하여 복잡한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찾는 능력입니다. 창의성은 자신의 의견과 생각을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능력과 미래를 예측하고 새롭게 뛰어난 가치를 만들어 가는 능력입니다.
재무설계에 대한 전문성도 마찬가지입니다. 메타지식이 훈련되어 있다면, 시중에 흩어져 돌아다니는 재무설계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선별적으로 받아들여 나의 재무설계 지식체계에 쌓아 나가면 됩니다. 모든 지식과 정보는 항상 변화하고 발전하기 때문입니다.
'김중구 CRO의 재무설계와 위험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설계에 영향을 주는 삶의 중요 요소들 (0) | 2025.03.11 |
---|---|
(원문) 수신제가 치국평천하! 삶의 요소 - 가족 (0) | 2025.03.09 |
머니 머니해도 머니가 가장 중요해! 삶의 요소 - 재정 (0) | 2025.03.09 |
인생은 6개 삶의 요소를 저글링 하는 것! (0) | 2025.03.09 |
삶의 핵심요소 (0) | 202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