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요소 가족 – 부부위험과 자녀위험
우리 삶의 여정은 출생, 성장, 결혼, 자녀양육, 자녀독립, 노년기그리고 사망으로 마감합니다. 삶의 여정은 항상 재정이 동반됩니다. 가족관계의 특수성을 유념하고 부부위험과 자녀위험을 관리해야 합니다. 가족관계는 태생적으로 갈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미국 조지아의 그륀네트공대(Georgia Gwinnett College)의 Platek박사가 흥미로운 뇌반응연구를 했습니다. 이 연구에 의하면 내가 가족사진을 볼 때 뇌의 ‘자신‘, ‘반성'과 관계되는 부위가 활성화된다고 합니다. 타인의 사진을 볼 때는 ‘행동을 결정하는 부위'가 활성화 된다고 합니다. 바로 가족을 자신과 동일하게 취급한다는 말입니다. 우리가 가족을 나와 동일시하는 것은 보통 사랑으로 나타납니다. 그러나 이 동일시 결과 가족의 개인적 일에 지나치게 간섭합니다. 이 간섭이 가족간 갈등의 원인이 됩니다. 가족의 갈등관리에 참고해야 할 연구 결과입니다. 우리 사회는 양성평등화가 정착되었습니다. 그러나 부부역할 관계가 평등화 경향을 따라 가지 못해 부부갈등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부부위험으로 인한 최악의 시나리오는 이혼입니다.이혼 시,혼인기간이 5년 이상이면 분할연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분할연금 신청자가 급증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혼과 분할연금은 빈곤으로 가는 지름길입니다. 40대에 가정파탄으로 재정적 위험에 빠진 사람들이 적지 않습니다. 우리나라 독신가구의 노인빈곤율은 부부가구의 노인빈곤율보다 훨씬 높습니다.
우리나라는 미국과 함께 각 가정의 사교육비 부담이 세계적으로 높은 국가입니다. 사교육비 부담은 높지만, 우리나라 교육비용은 대부분 선행학습과 객관식 문제풀이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교육을 통해 향상 시켜야 할 전인교육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고 있습니다. 전인교육의 3가지 요소는 인지적 영역 (Cognitive Domain, 지력), 정의적 영역 (Affective Domain, 심력) 그리고 심리운동 영역 (Psychomotor Domain, 체력)입니다.교육선진국에서는 점차 인지적 영역보다는 정의적 영역과 심리운동 영역의 훈련을 더 중요하게 여깁니다. 정의적 영역에는 Integrity, 리더십, 집중력, 팀워크와 같은 것이 해당됩니다. Integrity는 정직, 성실과 같은 덕목을 말합니다. 현대인들에게 꼭 필요한 소양인데 우리나라 교육에서는 소홀히 되고 있습니다. 자녀교육의 비효율성은 개인 재정에 악영향을 끼칩니다.
서양에서는 자녀들이 16세가 되면 부모로 부터 재정적으로도 독립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제가 독일에서 유학하면서 친구들의 삶을 직접 보았습니다. 서양에서는 성년식을 맞은 자녀에게 사교댄스를 가르쳐 성년식장에 입장 시키는 것으로 부모의 역할을 다하게 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어떻습니까? 자녀독립시기가 늦고 자녀들의 부모로부터의 독립심도 낮습니다. 자녀결혼도 부모가 재정적으로 지원합니다. 대도시의 높은 주거자산 비용은 부모의 도움 없이는 자녀의 주거독립을 어렵게 합니다. 치열한 경쟁사회로 인해 자녀위험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자녀의 사업자금을 지원하거나 보증으로 인해 재정적인 곤란에 빠진 부모들이 있습니다. 장수사회에 진입하면서 길어진 은퇴 후 삶을 생각하면 재무설계의 우선 순위는 자녀교육과 결혼자금 보다는 노후자금이 더 상위에 있어야 합니다.
물론 서양과 우리나라의 차이는 개인적인 이유가 아닙니다. 서양의 성숙사회에서는 사회운영 체계 자체가 우리나라와 다릅니다. 악순환의 고리를 끊으려면 우리 사회도 변화해야 합니다.
'김중구 CRO의 재무설계와 위험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문가 인맥관리 - 심층 내용 (1) | 2025.03.11 |
---|---|
재무설계에 영향을 주는 삶의 중요 요소들 (0) | 2025.03.11 |
전문성이 돈벌어 준다! 삶의 요소 - 전문성 (0) | 2025.03.09 |
머니 머니해도 머니가 가장 중요해! 삶의 요소 - 재정 (0) | 2025.03.09 |
인생은 6개 삶의 요소를 저글링 하는 것! (0) | 2025.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