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교과서에서 누구나 가슴 설레이던 황순원의 단편소설 소나기를 기억하실 겁니다.
....
소년은 징검다리에 앉아 물장난을 하는 소녀를 만난다. 소녀는 세수를 하다 말고 물 속에서 조약돌 하나를 집어 "이 바보!" 하며 소년에게 돌팔매질을 한 후, 가을 햇빛 아래 갈밭 속으로 사라진다. 다음날 개울가로 나와 보았으나 소녀는 보이지 않는다. 그날부터 소년은 소녀에 대한 애틋한 그리움에 사로잡힌다.
어느 토요일, 소년과 소녀가 개울가에서 만나게 되었을 때 소녀가 비단 조개를 소년에게 보이면서 말을 건넨다. 그들은 황금빛으로 물든 가을 들판을 달려 산밑에까지 갔다.
가을 꽃을 꺾으며 송아지를 타고 놀다가 소나기를 만난다.둘은 수숫단 속에 들어가 비를 피한다. 비가 그친 후 돌아오는 길에 물이 불은 도랑을 소년은 소녀를 업고 건넌다. 그 후 소년은 소녀를 오랫동안 보지 못한다.
그러던 어느 날 소녀를 다시 만났을 때, 소녀가 그날 소나기를 맞아 많이 앓았다는 사실과 아직도 앓고 있음을 알게 된다. 이때 소녀는 소년에게 분홍 스웨터 앞자락을 보이며 무슨 물이 묻었다고 말한다. 소나기를 만나 소년이 소녀를 업고 개울물을 건널 때 묻은 풀물 자국이었다.
그리고 소녀는 아침에 땄다는 대추를 한 줌 주면서 곧 이사를 가게 되었다고 말한다.
소년은 덕쇠 할아버지의 호두밭에서 호두를 몰래 따 소녀에게 주리라 마음 먹는다.
소녀네가 이사 가기로 한 전날 저녁, 소년은 자리에 누워 소녀에게 전해 주지 못한 호두를 만지작거리고 있는데 마을에 갔다 돌아온 아버지가 어머니에게 소녀가 죽은 사실을 전하는 말을 듣게 된다.
소녀가 죽을 때 "자기가 입던 옷을 그대로 입혀서 묻어 달라."는 유언을 남겼다는 이야기와 함께…….
이 소설의 무대가 양평이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그래서 서종면 수능리에 이 소설을 배경으로 하는 소나기 테마 공원이 조성됩니다.
아직 초기 공사가 진행 중입니다. 그러나, 도로는 이미 확장 공사를 마쳐 시골길 치고는 잘 정비되어 있습니다.
공사 안내판 뒤로 보이는 곳이 소나기 공원 공사 현장입니다. 오래 전에 제가 이 곳에 땅을 살번 했습니다. 그 때 이 땅을 구입했더라면 소나기 공원 안에 우리 집이 있을 뻔 했습니다. 즐거운 상상이죠. 이 곳 주민들은 공원의 조성으로 펜션, 민박 등이 활성화 될 것을 기대하는 면도 있는 것 같습니다. 전원생활을 하면서 그런 부수입 기회를 갖는 다면 나쁘지 않겠지요. 외국에는 이런 경우가 많습니다.
'세상살이 > 전원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 교수님의 전원생활 성공기 (0) | 2008.05.11 |
---|---|
미래의 명품 전원도시 (0) | 2008.05.11 |
서종면 수능리 달뫼골의 황토집 (0) | 2008.05.09 |
2008년5월 강원도 주천 여행 (0) | 2008.05.06 |
자녀교육과 전원생활 도중 하차 (0) | 2008.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