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고문으로 있는 메타리스크라는 회사가 있습니다. 우리나라 보안리스크관리 분야에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내공을 쌓고 있는 곳입니다. 이 곳과 한 국제적인 컨설팅 회사와 힘을 합하여 국내 비금융분야의 리스크관리에 대한 컨설팅을 잘 할 수 있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습니다.
저는 이 양쪽 회사를 모두 잘 알고 있고 시장의 수요를 이해하므로 이 시도가 열매를 맺기 위해 나름대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또 하나의 시도는 리스크관리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 이 양 회사와 제가 한국생산성 본부와 위험관리 고급과정을 운영하는 것입니다. 저도 한 곳에서 제의를 받기도 했지만, 최근 국내 비금융기업들이 CRO을 임명하고 위험관리팀을 개설하는 추세가 점차 많아 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아직 비금융기업의 위험관리를 담당할 전문가가 부족한 형편입니다. 이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위험관리 컨설턴트 양성과정"이 필요합니다. 기존 금융연수원이나 증권연수원에서 금융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리스크관리 과정은 많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비금융기업에는 그대로 적용하기가 어렵습니다.
이 과정의 대상은 기업의 CRO 또는 위험관리팀장급 등 고위직을 대상으로 생각하고 35시간 정도의 커리큐럼을 마련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고급과정으로 꾸미려고 합니다.
현재 기업 CRO 들이 점차 내정되고 있으나, 직무규정등이 없고, 위험관리 방법론등을 몰라 헤메고 있어 시기 적절한 강의가 될 것으로 기대가 큽니다. 개강시기는 6월로 보고 있습니다. 강의 기획과 진행에는 저도 참여를 할 예정입니다.
'기업리스크관리 > 기업리스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리스크관리 온라인 강좌 개설 (0) | 2010.07.02 |
---|---|
기업승계와 리스크관리 (0) | 2010.05.07 |
도요타의 위기 (0) | 2010.02.10 |
생산성 본부 '기업리스크관리' 강의 녹화 (0) | 2009.12.28 |
일본의 신종풀루 bcp 사례 (퍼옴) (0) | 2009.11.14 |